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2

[Flutter] 플러터 - fcm foreground notification click 포어그라운드 알림 클릭 이벤트 구현 (onDidReceiveNotificationResponse) runApp 수준 전에 플러터 로컬 노티를 초기화 해서 onDidReceiveNotificationResponse 콜백에서 context 없이 navigator 이용을 어찌하나 고민이 많았을 여러분을 위해 !!최상단이 아닌 _MyApp 에서 MaterialApp 위젯을 호출했다면 그 밑 위젯 (Ex 스플래쉬)에서 didChangeDependencies 혹은  initState 을 오버라이드하여 그 시점에 플러터로컬노티를 초기화 해주면 된다.  그리고 context를 인자로 받아서 사용하면 끝 !  void initializeNotification(BuildContext context) async { // FlutterLocalNotificationsPlugin 인스턴스 생성 final flu.. 2024. 1. 19.
[Flutter] 플러터 - Ios fcm 알림 foreground 중복으로 두번 온다면? 포어그라운드에서만 알림이 중복해서 2번 온다면? 로컬노티랑 파이어베이스 쪽 알림이 둘다 켜져있어서 그릏다! 안드로이드때메 로컬 노티를 켜놨을 땐 파베는 포어그라운드를 끄고 로컬노티만 사용하자!포어그라운드 수신 메소드  /// 포아그라운드 알람 수신 시 호출되는 콜백 함수 FirebaseMessaging.onMessage.listen((RemoteMessage message) async { RemoteNotification? notification = message.notification; print("==============포어그라운드 notification: ${notification?.body.toString()} ======================="); pr.. 2024. 1. 16.
[Flutter] 플러터 - MAC fvm으로 쉽게 버전관리 1. fvm 활성화터미널 루트에서 $ flutter pub global activate fvm2. fvm 환경변수 설정(1) nano, vi 등 본인이 편하신 편집기 열어서 경로 넣어주세요 export PATH="$PATH":"$HOME/flutter/bin"export PATH="$PATH":"$HOME/bin/cache/dart-sdk/bin" export PATH="$PATH":"$HOME/.pub-cache/bin"(2) 설정된 내용 반영$ source ~/.zshrc 3. 사용할 플러터 버전 설치(1) 사용 가능 버전 이름 확인$ fvm releases(2) 원하는 버전 설치$ fvm install             Ex) fvm install 3.10.5 (3) 설치된 버전(리스트) 확인4.. 2024. 1. 13.
[Flutter] 플러터 - 버전 변경하기 1. 플러터 sdk 설치 경로에서 터미널 열기2. git checkout  3. flutter --version 누르면 다운로드 진행, 변경 완료 2024. 1. 4.
mac 세팅 1. 마우스 휠, 키보드 세팅, 독스 등 기타 설정 2. 사파리에서 구글 다운로드 3. AppStore에서 xCoed, Runcat 4. homebrew 설치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환경변수 설정 (echo;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telamosyeon(유저이름)/.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5. iterm2, oh-my-zsh 설치 $ brew install iterm2 $ sh -c "$(curl -fsSL .. 2024. 1. 4.
[Flutter] 플러터 - part 키워드 Dart의 part 키워드를 활용하여 코드 관리하기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모든 코드를 하나의 파일에 넣는 것은 누가봐도 현명하지 않습니다.파일이 길어지면 코드를 읽고 이해하기 어려워지며, 여러 개발자가 협업할 경우 충돌과 오류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회사 내부 프로그램을 위한 패키지 등을 개발할 때 해당 패키지가 너무 길이 다른 개발자가 이해하기 힘든 상황 등 보다 더 편리한 협업 및 개발의 유연성을 더하기 위해 나온것이 "part"키워드 입니다.part 키워드는 하나의 Library의 코드를 여러 파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main.dart 파일의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인은 my_library의 일부이며 utils.dart와 models.dart파일이 현재 파일에서 사용되도록 선언함, 이렇게 하여.. 2023.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