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브리드 개념
-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두개 이상의 요소가 합친 것 - 잡종 짬뽕ㅋㅋ
- 서로다른 요소의 장점만 선택해 합친 것으로 성능이나 경제성이 뛰어남
- ex) 하이브리드 자동차(전기+휘발유 → 효율성, 경제성↑), 자건거(페달+전기), 가로등 등
하이브리드 암호
- 대칭 암호 장점 + 공개키 암호 장점 → 성능이 좋고 경제성 ↑키 이름 장점 단점
대칭키 암-복호화 속도가 빠르다 복호화 키의 배송 문제가 있다 공개키 키를 배송할 필요 없다 암-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 이용
- 대칭키 암호 사용시
- 기밀성을 유지한 통신이 가능
- 키 배송 문제를 해결할 필요
- 공개키 암호를 사용시
- 복호화에 사용할 키를 배송할 필요가 없어짐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
- 메시지 - 기밀성을 위해 고속의 대칭 암호로 암호화
- 대칭 암호 키
- 데이터로 간주하여 공개키 암호로 암호화
- 메시지의 길이에 비해 대칭 암호 키의 길이는 짧음 → 짧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공개 키 암호의 속도가 느린 것은 별 문제가 되지 않음
→ 평문을 암호화하는건 대칭암호 → 암호문 (이때 필요한 키를 상대방이 가지고 있지 않음) → 상대방은 공개키 암호를 씀 ⇒ 하이브리드 암호 알고리즘
메시지(평문)는 대칭암호로 암호화함
이때 대칭암호에서 사용하는 키를 (수신자의)공개키 암호화 ⇒ 암호문과 암호화된 키가 나옴
- 하이브리드 암호의 해결점
- 공개키 암호의 처리 속도 → 대칭 암호로 해결
- 대칭 암호의 키 배송 문제 → 공개키 암호로 해결
- 활용
- 유명한 암호 소프트웨어인 PGP
- Web의 암호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SSL(https:// → 안전한 웹 통신)/TLS
하이브리드 알고리즘 암호화
하이브리드 알고리즘 복호화
'암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LT 이용 암호화 (SHA - 512) (0) | 2023.01.03 |
---|---|
파이스텔 구조 (Feistel Cipher)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