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

파이스텔 구조 (Feistel Cipher)

by s_hoonee 2023. 1. 2.
반응형

파이스텔 구조는 데이터를 두부분으로 나누어 좌, 우 두부분에 교대로 비선형 변환을 적용시키는 구조를 말하며, trudy가 키를 훔쳐도 function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좋다.

파이스텔 네트워크 구조는 치환(Substitution), 순열(Permutation)을 번갈아 수행하는 구조이다.

1. F를 라운드 함수로 하고 K0, K1, ... , Kn을 각각 라운드 0, 1, ..., n의 하위 키로 한다.
2. 평문 블록을 두 개의 동일한 조각으로 분할(L0, R0)
3. 각 라운드의 경우 i = 0, 1, ..., n,
4. ComputeLi+1 = Ri, Ri+1 = Li = Li = ⊕ F(Ri,Ki)
5. 암호 텍스트는 (Rn+1, Ln+1)
위 그림 전체 (i-1~ i) 의 일련의 과정이 한 Round이다.

파이스텔 암호화 특징

- XOR의 특징을 이용 ex) A XOR B XOR B = A 라는점. 

- 암호화된 결과(ciphertext)를 생성할때, bits가 섞인 상태로 완성됨.

- 여기서 F는 어떤 함수를 만들어도 상관 없지만 특정한 F에 Secure하기 때문에 잘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F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DES이다. 

'암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LT 이용 암호화 (SHA - 512)  (0) 2023.01.03
하이브리드 암호  (0)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