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꿀팁 및 1주일 공부 합격 후기 (시나공)
정보처리산업기사는 필기 합격 발표 이후 실기 시험까지 한 달 정도 되지요?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책을 구매하신 분은 내용상으로는 딱히 실기 책이 필요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총 20문제의 서술형 & 단답형 &프로그래밍 문제가 나오며 12개 이상 맞추면 합격입니다.
실기 기출문제 또한 시나공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어서 해당 자료만 주구장창 풀고 필기의 내용을 다시금 암기한다면 어렵지 않게 붙을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은 크게 3가지입니다. 제가 근 2년간 문제를 분석한 결과 각 과목당 문제 수는 매년 균등하게 나옵니다.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래밍 기본기가 있으신 분들은 응용 SW 기술 활용만 공부해도 될 것 같습니다.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및 네트워크 == 컴퓨터 공학 지식
- 프로그래밍 (자바, 파이썬 c계열)
- 데이터베이스
1.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및 네트워크
필기와 크게 다르지 않고 굴직한 A형 문제와 B형문제의 기출문제를 많이 푸시다보면 스케쥴링이나 테스트 과정 등, 자주 나오는 실기 패턴이 있습니다. 그게 익숙하다면 충분합니다.
2. 프로그래밍 (자바, 파이썬 c계열)
컴퓨터공학 2학년 이상이라면 쉽게 풀 수 있는 로직들입니다. 복잡한 2차원 배열 같은 경우도 단순 노가다로 그리면서 풀면...
프로그래밍 문제에서 반 이상 틀린다? 사실 정보처리산업기사 붙을 자격이 없습니다... 코딩 부분이 어려운 것도 아니고 굉장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로직도 아닌 정말 기초적인 부분입니다.
* 비전공자는 보셔야합니다. 컴공과 학생들은 교수님의 과제에 고통받은 경험덕에 비교적 쉽다고 생각
3. 데이터베이스
필기에서 맞춘 문제 그대로 sql 쿼리 짜는 식으로 나옵니다. 단답형으로도 DDL, DCL, DML등 나오고 비교적 생소한건 어차피 틀리니까 기존의 알던 거 제대로 복습해서 확실히 맞추는게 낫다고 생각듭니다. 암기이기도 하고 대부분 CRUD 문제라 기본 개념만 장착했다면 반 이상 맞춥니다.
2,3 과목이 실수만 안하면 정말 쉬워서 1과목만 보면 충분히 합격 가능한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견해)
시험 시간 남으면 프로그래밍 부분 꼭 다시 보세요!
오버라이딩으로 값 달라지는 거 찾기, 주소 참조 or 값 참조 이런 문제들이라 실수할 수도 있고 반복문 등으로 짜여진 로직 패턴 찾기 문제들도 노가다하면 풀릴 가능성도 있기에 꼭! 다시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대부분 콘솔에 찍히는 값 단답으로 써야하는데 줄넘김!!!!!! 그리고 빈칸!!!! 빈칸 꼭 잘 보세요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 차이 아시죠? 줄넘김 아시죠?!!?
다들 파이팅!!!
